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대한민국꿈대표
- Spain
- 까미노 순례
- 여행
- 끈기프로젝트_동기부여모닝콜편
- 순례자의 길
- 모닝루틴
- 흑백사진
- 켈리스운동
- 긍정문장
- Camino de Santiago
- 책리뷰
- 해외여행
- 북리뷰
- 도전100일
- 끈기프로젝트 웰씽킹
- Camino
- 스페인 여행
- 켈리스운동클럽
- 까미노 여행기
- 까미노 데 산티아고
- 켈리최생각파워
- 여행기
- 사진
- Nikon F3
- 자유여행
- 동기부여
- 필름사진
- downdog
- 끈기프로젝트_운동편
- Today
- Total
힘내자, 청춘!
[나의 꿈 사용법] 꿈은 힘과 지혜의 원천이다 본문
![]() |
|
2015년에 한번 읽었던 책인데, 1년이 지나서 다시 읽게 됐다. 책의 두께가 얇아서 읽는데 거부감이 들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꿈이란 방대한 내용에 대한 저자의 간략한 핵심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에 다 읽고 난 후에도 약간의 궁금증이 남을 수 밖에 없다. 이 책을 두 번째 읽는 것이지만, 한번 읽고 잊어버렸던 내용들을 다시 보니 좋았다. 그리고 1년 사이의 경험들이 축적되어 있는게 도움이 됐던지, 좀 더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어서 책읽기의 또다른 즐거움을 느꼈다.
작년에 이 책을 읽고 한창 꿈일기를 썼었는데, 요즘은 조금 뜸해졌었다. 이 책을 다시 읽게 되니, 그동안 내가 놓쳤던 꿈의 기록이 아쉽게 느껴진다.
꿈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팟캐스트로 벙커특강을 듣게 된 후부터다. 고혜경 작가가 꿈에 관한 특강을 몇차례 했었는데, 팟캐스트로 나중에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껏 기억에 남을만한 꿈을 꾸면 인터넷으로 꿈해몽을 검색하고, 그걸 대부분 믿었었는데. 최고의 꿈해몽은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p.164 ...꿈은 자신으로 하여금 편집된 자신으로 살아가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선하고 밝고 성실하고 책임 있는 자신 뿐 아니라 게으르고 놀기 좋아하며 자발적으로 자유로운 자신까지 모두 포함하라고 촉구한다. 착하고 바르기보다 건강하고 온전한 자신이 되라는 것이다. 그림자 작업은 통과의례다. 나이와 상관없이 새롭게 거듭날 자아가 있다는 이야기다. 이 새로운 탄생을 위한 열쇠이자 촉매의 원천이 바로 그림자다. 그런 의미에서 어둠과 그림자는 아직 탐험되지 않은, 자아로서는 가늠할 길이 없는 금광맥이 방치되어 있는 자리이다.
인간은 평생동안 '투사'를 한다고 한다. 내 안의 부정적인 면, 열등감을 타인에게 투사해서 '색안경'을 쓰며 평생을 산다는 말이다. 자신이 오랫동안 부인하고, 부정해온 면들, 그림자를 대면하는 장소로 꿈은 완벽한 세계이자 무대공간이다.
한 쪽으로 치우친 '나' 가 아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도 통합하여 성장하는 것- 꿈은 '힘과 지혜의 원천'이라는 작가의 말이 인상깊다.
'개꿈'이라고 치부할 수 있는 내용일지라도, 그것은 꿈이 우리에게 보내는 중요한 메세지인 것이다.
꿈에 대해서 잘 알고 싶은 사람, 자신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마땅히 꿈을 공부해야한다. 꿈의 세계는 은유라는 상징세계이기 때문에 한번의 눈짓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 스스로를 들여다보고,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에 놓여 있게 될 것이다.
다음은 책의 맨 뒤에 실린 <자주 꾸는 꿈의 상징적인 의미>이다. 아주 간단하게 간추린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은 분은 [나의 꿈 사용법]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책벌레 > 2배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인 척] 작은 위로가 필요할 때 (0) | 2017.02.27 |
---|---|
[낯선 유럽으로 워킹 홀리데이] 아일랜드, 덴마크, 독일 워홀 정보를 알고 싶다면? (0) | 2016.08.28 |
[서천석의 마음 읽는 시간] 당신의 마음은 당신 편인가요? (0) | 2016.08.05 |
[생존체력, 이것은 살기 위한 최소한의 운동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일상을 충분히 견뎌내기 위한 생존체력! (2) | 2016.05.16 |
[남은 날은 전부 휴가] '셀프' 휴가 충전소 (0) | 2016.04.15 |